성경대로 믿고 성경대로 가르치는 대학
그리스도를 향한 열정과 젊음이 있는 대학

서브배경
대학/대학원

복지상담융합학부

교과과정

학년 학기 이수구분 교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시간
1 1 기교 USB009 실생활 영어I 2 2
기교 USB008 소통을 위한 발표와 토론 2 2
전필 UCC079 사회복지개론 3 3
전선 USW018 노인복지론 3 3
전선 UCC341 보육학개론 3 3
전선 UCC045 장애인복지론 3 3
2 기교 USB 실생활 영어II 2 2
전필 USW0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3 3
전필 UCC231 지역사회복지론 3 3
전선 UCC205 영유아발달 3 3
전선 UCC274 보육과정 3 3
학년 학기 이수구분 교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시간
2 1 기교 USB010 성경으로 세상보기 2 2
전필 UCC245 사회복지실천론 3 3
전선 UCC381 아동권리와복지 3 3
전선 UCC364 사회복지윤리와철학 3 3
전선 UCC368 보육교사론 3 3
2 기교 USB 광신인으로 세상살기 2 2
전필 UCC219 사회복지실천기술론 3 3
전필 UCC228 사회복지행정론 3 3
전선 UCC380 아동수학지도 3 3
전필 UCC215 사회복지조사론 3 3
전선 UCC348 건강가정론 3 3
학년 학기 이수구분 교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시간
3 1 전선 UCC189 보육실습 3 3
전필 UCC228 사회복지정책론 3 3
전선 UCC149 사회보장론 3 3
전선 UCC370 프로그램개발과평가 3 3
전선 UCC333 놀이지도 3 3
2 전선 UCC379 언어지도 3 3
전필 UCC229 사회복지실습 3 3
전필 UCC220 사회복지법제론 3 3
전선 UCC382 아동음악 3 3
학년 학기 이수구분 교과목코드 과목명 학점 시간
4 1 전선 UCC291 정신건강론 3 3
전선 UCC372 아동안전관리 3 3
전선 UCC275 영유아교수방법론 3 3
전선 UCC223 사회복지발달사 3 3
2 전선 USW012 사례관리 3 3
전선 UCC209 가족복지론 3 3
전선 UCC341 여성과 사회 3 3
전선 UCC279 아동관찰및행동연구 3 3

※ 사회봉사(기초교양/1학점)은 1~4학년까지 매학기 개설되므로 졸업 시까지 1회만 수강하면 됨

전공필수, 전공선택

사회복지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사회복지를 교양수준에서 이해하려는 학생들과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려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려는 것이다.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 사회복지학의 연구 및 실천방법, 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사회복지 실천방법론, 사회복지 정책과 제도,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의 주요분야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의 학문으로서의 연구전망과 사회제도로서의 실천적 전망을 살펴본다.

보육학개론 (Introduction to Child Edu-care)

영유아의 보호와 교육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루고 영유아교육의 유형과 다양한 프로그램을 비교 연구하여 영유아의 발달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며 특히 교사로서 기본적 소양을 준비하도록 한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Social Environment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개인, 가족, 집단, 조직사회를 설명하는 제반 이론을 학습한다. 또한 인간의 성장과 발달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노인복지론 (Welfare for the Aged)

노인복지에 대한 기초 개념을 익히고 그 개요를 학습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한다. 노인복지는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의 틀 속에서 노화와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책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계획하고 실천하는 활동이다. 본 과목은 현대사회에서 어떤 요인들이 노인문제를 야기시키며, 그 문제의 성격은 무엇이며, 사회복지의 차원에서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가를 개괄적으로 다룬다.

사회복지조사론 (Social Welfare Research )

과학적 방법으로서의 사회복지조사의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이론을 배우는데 중점을 둔다. 과학과 과학적 방법, 사회과학 방법을 기본적으로 이해한 후에 사회복지조사의 일반적 절차인 조사문제 선정, 가설설정과 개념 정의, 조사설계, 표집, 측정도구개발,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의 일반화에 필요한 기본이론과 기법을 익힌다.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elfare Practice )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 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 모델에 관한 기초 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 철학과 가치, 통합적 시각, 사회복지실천 관계론, 면접론, 과정론, 사회복지실천 대상별 실천모델, 사례관리 등을 검토한다.

상담이론과 실제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의 기본개념, 상담의 기초이론( 정신분석, 인간중심, 인지행동. 행동수정과 상담의 방법, 주요기법 및 절차를 문제제시를 통한 질문법과 실습 등으로 구성함

아동복지론 (Child Welfare )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복지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아동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아동의 교육, 보건, 노동, 법무, 여가지도 등 일체의 보호원조지도를 통한 아동문제의 예방과 치료대책을 학습한다. 또 아동복지의 개념과 가치에 대한 이해, 아동복지의 역사, 정책과 제도, 실천대상과 관련서비스, 실천방법과 기술 등의 이해를 도모한다.

영유아교수방법론 (Childhood Teaching Method )

유아와 교사, 유아와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유아보육 및 교육현장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교사의 교수방법 향상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아동수과학지도 (Mathematics and Science for Children )

아동의 수.과학 교육 이론을 살펴보고 계획, 실행, 평가의 지도방법에 대해 실제적으로 다룬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Skills of Social Welfare Practice )

개인과 가족, 집단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기술, 기법, 지침 등을 학습한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 기법, 지침을 실천대상에게 적용하며 실제 클라이언트에게 개입하고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한다.

보육실습 (Practice of Child Care and Teaching )

아동의 발달과 보호 및 교육과 지도에 관련하여 습득한 이론적 지식과 기술들을 아동보육 현장에서 적용해 봄으로써 체험을 통한 지식의 검증과 내면화를 이루고, 그리함으로써 이론과 실제를 조화롭게 연결하고 적응력 있게 대처할 수 있는 아동 전문가를 길러내기 위해 편성된 교과이다. 어린이집에서 아동보육의 현실과 그 실제 과정을 참관하고 아동지도에 직접 참여하는 경험을 해봄으로써 아동보육과 교육활동의 계획.운영.평가 전반에 걸친 종합적 학습을 도모하고 교사로서의 자신의 역할과 자질 등을 검증하고 바르게 정립하도록 한다.

장애인복지론 (Welfare for the Disabled)

장애인문제와 장애인복지에 관한 제반 이론과 실천영역의 현황과 과제를 이해하고 학습한다. 장애인복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장애에 접근하는 시각을 포함한 가치와 이념에 대한 이해, 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서비스, 정책과 제도 등이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 근거하여 장애인복지의 가치, 이론, 기술에 대한 균형을 유지하면서 한국의 장애인복지분야의 사회복지사로서 실천능력을 향상시킨다.

여성복지론 (Welfare for the Women)

여성문제와 여성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들과 실천방안들을 학습한다. 현대사회에서 여성이 처해있는 사회적 조건을 살펴보고 여성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다양한 여성복지정책의 개발을 시도하며 여성복지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여성문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여성복지의 개념과 가치에 대한 이해, 여성복지의 역사, 정책과 제도, 실천대상과 관련 서비스, 실천방법과 기술 등을 학습한다.

청소년복지 (Social Welfare for Adolescents )

청소년기의 특성과 가정 및 사회와의 역동적 관계를 이해하고 가출, 약물남용, 학원폭력 등 제반 청소년 문제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사회복지적 지식과 실천기술을 습득한다.

사회복지정책 (Social Welfare Policy )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배경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정책과 인접영역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며, 사회복지정책의 결과인 복지국가에 대해 이해하고, 사회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알아본다. 또한,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내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준거틀을 알아보고, 그 분석틀에 의거해 현행 한국 사회복지정책과 그 문제점을 분석해 보도록 한다.

사회복지발달사 (History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제도를 역사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지식을 익힌 뒤, 시대별로 서구 사회의 주요국가들의 사회복지 발달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복지국가의 생성, 정착, 확장 및 재편의 과정을 정치, 사회, 경제적 맥락에서 분석하고, 아울러 우리나라 사회복지 발달과정을 서구사회와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사회복지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다.

아동발달(론) (Child Development)

인간발달 관점에서 아동기의 발달과 심리에 대한 원리와 이론을 이해하고, 최근의 연구경향을 교육현장에서 아동지도의 기초를 형성한다.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 (Programs Planning and Evaluation)

사회복지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이론적 학습방법을 통해서 사회복지현장에서 활용하고, 프로그램의 평가와 관련된 기본적 이해의 틀을 제공하여 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제반능력 등을 연구한다. 평가에 관한 개념, 궁극적인 목적, 척도 선정, 혜택 대상, 절차와 방법, 수행 등의 세부항목을 학습한다.

사회복지법제 (Social Welfare Legislation)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존권, 사회복지의 가치와 목적 및 일반원리를 고찰하고 사회복지법제의 생성과정과 범위 및 구조를 파악하고,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의 분야별 내용들을 학습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어떠한 법제 아래서 수행되어지는가를 이해함으로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법 내용을 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정신건강론 (Mental Health Problems )

정신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 이론을 배우는 데 중점을 둔다. 정신장애의 유형과 정신장애의 판정기준들을 배우고, 정신의학의 한계점에 대해 학습한다.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심리사회적 개입의 당위성을 찾고 사회복지적 개입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필요한 제반 프로그램을 개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보육과정 (Curriculum for Infants & Young Children)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및 환경구성 등을 학습하여 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영유아 교육기관을 방문하여 그 기관의 학습운영 및 행정관리의 실태를 파악하고 평사해 봄으로써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공적 및 민간차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 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과 이들의 연계체계인 사회복지 전달체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 조직의 요원으로서 사회복지조직을 관리, 운영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사회복지실습Ⅰ (Social Work PracticumⅠ)

사회복지학의 응용과학적 측면을 반영한 과목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학생들이 실습을 하게 하여 사회복지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사회복지기관에서 서비스를 기획, 전달, 평가하는 과정에 참여하게 하고, 사회복지기관의 슈퍼바이저의 지도와 학교실습교수의 지도를 받게 한다.

지역사회복지론 (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접근하는 사회복지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 원조기술의 이론과 방법을 습득하고, 나아가 지역사회복지의 다양한 실천분야를 이해함으로써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전문 사회복지사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

가족복지론 (Family Welfare)

산업사회에서 변화하는 가족과 새롭게 등장하는 가족지원의 필요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가족구조, 가족관계, 가족의 기능, 가족의 생활주기, 가족문제 등에 관해 고찰하고 가족복지 정책과 서비스현황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그리고 가족복지 서비스 대상, 가족의 문제에 대한 사정과 치료적 접근들을 살펴본다.

의료사회복지론 (Medical Social Welfare)

보건, 의료분야에 있어서의 사회사업실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고 인간의 기본적 욕구로 이해되어야 하는 건강에 대한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요소들에 대해 고찰한다. 나아가 직접적 서비스와 사회복지행정에서 나타나는 현안 문제를 중심으로 관련되는 의료복지제도와 임상실천방법을 연구한다.

아동간호학 (Pediatric Nursing)

아동의 정상발달과 건강증진을 위한 관리방법을 기술하고, 영유아 건강을 돌보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을 효율적으로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동문학 (Children`s Literatutre)

아동문학의 본질과 역사 및 장르별 특성을 이해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문학 매체를 구안 제작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사회복지윤리와 철학 (Social Work Ethics and Philosophy)

사회복지를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가치와 철학, 그리고 윤리학에 대해 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 현장에서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가치관과 윤리관에 대해 강의한다. 또한 현장에서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 갈등상황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며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개입할 때 경험하게 되는 윤리적 논점에 관해 논의한다. 윤리강령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갈등상황의 현명한 해결을 위해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사, 그리고 사회의 가치관의 이해의 필요성에 관해 토론한다. 결국 학생들 각자가 사회복지를 실천하는데 있어 적합한 자신들의 가치관과 윤리관을 가질 수 있도록 격려한다.

사회보장론 (Social Security)

산업사회에서 사회보장의 등장배경을 살펴보고, 복지국가에서의 사회보장의 위치, 사회보장의 개념과 그 역사에 대해 학습한다. 또 선진국과 한국의 다양한 사회보장제도의 내용들에 대해 고찰하고, 사회보장제도의 사회적 기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다. 나아가 1970년대 이후 서구 복지국가의 위기와 후퇴요인, 신자유주의의 도래에 따른 사회보장제도의 과제와 전망에 대해서도 탐구한다.

가족정책론 (Family Policy)

가족정책은 가족에 관한 공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대응책이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복지를 증진함에 있어서 가족을 전체로 보거나, 개인을 가족의 일원으로 보려는 시각, 또 한, 가족에 관련된 사회 제반 제도를 연계하려는 시각에 입각한 사회정책이라 할 수 있다. 본 수업은 한국 사회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가족의 변화를 고찰하고, 국가적 대응방안을 살펴보는데 있다. 아울러 가족정책과 관련된 현장의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복지실천세미나(Seminar in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사들이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클라이언트들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돕는데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방법을 학습하고 훈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들이 실천분야에서 원조 전문가로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 전공 교과목에서 배운 지식들을 종합, 응용하여 학생들을 교육하고 훈련하는데 활용한다.

정신보건 사회복지(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회사업활동을 통해 정신질환자와 가족 및 공동체를 원조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학습하고,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재활을 증진시키는 전문적 지식을 습득한다. 즉, 정신병리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전달하고, 정신병리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접근방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신장애의 분류, 집단에 대한 논의점을 이해하고, 정신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재적응하기 위한 포괄적인 심리사회적 재활서비스 제공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가족상담 및 치료(Family Counseling & Therapy)

인간발달, 가족학 이론을 기초로 하여 가족단위, 체계 내에서 발생되는 가족상호작용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상담이론과 기법을 학습한다.